네트워크 환경(Interface)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을 실행한다.
$ ifconfig
인터페이스 이름이 ens33 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꼭 ens33이 아닐 수 있으니, ethernet과 flag의 <BROADCAST>를 확인하면 된다.
우분투에는 NetPlan이라는 네트워크 환경 설정 데몬이 존재한다.
NetPlan 설정파일은 아래의 경로에 존재하고 cat 명령어로 netplan 설정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cat /etc/netplan/01-network-manager-all.yaml
아래와 같이 bridge 설정을 위해 /etc/netplan/01-network-manager-all.yaml 파일을 수정한다.
빨간 네모에 주의하여 수정해야한다. 또한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니 띄어쓰기 두개로 들여쓰기를 구분하면 된다.
아래의 명령어로 netplan 데몬을 이용해 netplan 설정파일을 적용할 수 있다.
$ sudo netplan apply
error가 발생하지 않으면 성공적으로 설정파일이 적용된 것이다.
이후 아래의 내용을 가진 br0.xml 파일을 /etc/ 에 생성한다.
br0.xml을 적용하기 위해 아래의 세 명령어를 실행하면된다.
$ sudo virsh net-define br0.xml
$ sudo virsh net-start br0
$ sudo virsh net-autostart br0
error가 발생하지 않으면 xml 파일이잘 적용된 것이고 아래 명령어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sudo virsh net-list --all
KVM에서 bridge 설정을 적용하기 위해 KVM 왼쪽 상단의 i를 선택한뒤 NIC card에서 bridge로 잡아주면 된다.
설정 완료!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8.04] How to install xrdp, xmate on Ubuntu 18.04 LTS with Nvidia graphic card (1) | 2020.02.21 |
---|---|
Ubuntu 18.04, Install Nvidia driver and CUDA, cuDNN (0) | 2020.02.11 |
[Ubuntu] How to Kernel Compile (1) | 2019.10.20 |
[Ubuntu] How to install Visual Studio Code (0) | 2019.10.19 |
Ubuntu KERNEL Upgrade, Downgrade, Remove , Hold 18.04 (1) | 2019.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