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몬이란?
-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의 집합 데몬의 동작 유형 (추후에 설명)
- Xinetd 모드와 StandAlone 모드로 동작
xinetd (eXtended Internet Services deamon)
- 슈퍼데몬
- 데몬이 동작하는 것을 xinetd이 관리하여 외부의 요청이 있을때만 반응하는 데몬 - xinetd 데몬에서 지원하는 tcp wrapper를 통해 외부의 접근을 차단/허용 할 수 있으며 그외에 지원하는 다른 기능으로 효율적으로 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 데몬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이 비교적 어려움.
StandAlone
- 데몬이 독립적으로 커널상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는 것
- 요청이 있을때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지만, 항상 메모리에 상주해 있기 때문에
리소스 소모가 많다.
- 데몬의 부모 프로세스가 항상 작동하고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접속을 시도하게 되면
클라이언트의 수만큼 자식 프로세스가 생성된다.
- 데몬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쉽게 확인이 가능.
데몬의 종류(알아보기)
atd : 지정한 명령이나 스크립트를 지정된 특정시간에 실행하는 데몬
crond : 지정한 명령이나 스크립트를 주기 적으로 실행하는 데몬
auditd : 시스템의 파일의 변경등을 감시하며 보안관련 정보를 로그로 저장하는 데몬
autofs : 자동으로 마운트 및 언마운트를 지원하는 데몬
network : 네트워크 관련된 각종 정보를 활성화 하는 데몬
rsyslogd : 시스템 로그를 관리하는 데몬
iptables : 서버의 packet filltering 방화벽을 실행 및 중지하기 위한 데몬
postfix : 메일 전송 역할을하는 메일 서버 데몬
리눅스 마스터 1,2급 시험에 출제되는 데몬
ALSA - 사운드 카드 관련 데몬
CUPS - 프린터 관련 데몬
SANE - 스캐너 관련 데몬
------------------------------------------------------------------------------------------------
파일시스템 관리 1
- 파일 시스템 (File System)
-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 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체제
- 파일 저장 및 검색을 용이하도록 유지/관리하며 빠르게 읽고 사용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규칙
- 리눅스 지원 파일 시스템의 종류
EXT3, EXT4, SWAP, XFS, NFS, IS09660
※파일시스템의 종류
ext -초기 리눅스에서 사용하였던 종류,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
ext2 -현재도 사용하며, 긴파일시스템 이름을 지원하는것이 특징
ext3 -저널링 파일시스템, ext2보다 파일시스템의 복수/보안기능을 크게향상되었고 현재 기본 파일시스템으
ext4 -16TB까지만 지원하던 ext3과 달리 더큰 용량을 지원하며, 삭제된 파일 복구, 파일 시스템 속도가 훨씬 빨라진 파일시스템
iso9660 -DVD/CD-ROM을 위한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읽기만 가능
nfs -원격서버에서 파일시스템 마운트할때 사용하는 시스템(Network File System)
swap -스왑파일시스템, 스왑공간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
ufs -Unix system에서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사용(Unix File System)
vfat -윈도우95/98등등 nt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
msdos -MS-DOS파티션을 사용하기위한 파일시스템
ntfs -윈도우NT/2000의 nft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
hfs -MAC컴퓨터의 h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
hpfs -hp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
sysv -Unix system v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
ramdisk -RAM을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
XFS -64비트 고성능 저널링 파일 시스템.
EXT4 File System (Extended file system) (추가)
- 1EB의 최대 파일 시스템 사이즈와 16TB의 최대 파일 사이즈 지원
- 서브 디렉토리 64000개, 파일은 약 40억개
Ext4 파일 시스템 구조
- Boot Sector(Boot Block)와 Block Group으로 구분 Boot Sector는 Block Group 0번 앞에 위치해 있으며, MBR(Master Boot Record)를 포함해 LILO(LInux LOder)또는 GRUB(Grand Unified Boot Loader)가 저장된다.
Block Group의 구조
1. 슈퍼 블록 (Super Block)
2. 그룹 디스크립터 테이블(Group Descriptor table)
3. 블록 비트맵(Block Bitmap)
4. 아이노드 비트맵(Inode Bitmap)
5. 아이노드 테이블(Inode Table)
6. 데이터 블록(Data Block)
inode
소유자, 소유 그룹 정보 - 파일을 소유한 계정 및 그룹 정보
파일 접근 권한 정보 - 파일의 읽기, 쓰기, 실행권한에 대한 정보
타임 스탬프 정보 - 파일의 접근, 변경, 수정시간 정보
파일 종류, 크기, 하드링크 수
파일이 위치한 데이터 블록의 주소
Disk의 종류
1. IDE (Intergrated Drive Electronics)
2. SATA (Serial Advance Technology Attachment)
3. SCSI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4. SAS (Serial Attached SCSI)
파티션 (Partition)
하나의 물리적인 디스크를 여러개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나누는 것
swap 파티션
하드디스크 영역을 가상 메모리처럼 사용 하기위해 만든 파티션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디스크를 사용하여 예비 공간 역할을 함
레드햇 권고 (RHEL6)
RAM 용량 스왑용량
2GB RAM의 2배
2~8GB RAM과 동일
8~64GB 4GB이상
64GB 4GB이상
리눅스 파티션
파티션은 주파티션(Praimary)과 확장파티션(extended) 그리고 논리 파티션 (Logical)으로 구분된다.
디스크 하나당 주파티션은 4개까지 생성이 가능.
그이상의 파티션이 필요할 경우 확장 파티션을 생성.
확장파티션은 다시 논리파티션으로 나누어지고 최대 12개까지 생성이 가능
파티션 명칭
/dev/sda <- 첫번째 디스크
/dev/sdb <- 두번째 디스크
/dev/sdc <- 세번째 디스크
/dev/sdd <- 네번째 디스크
/dev/sde...
ex) 1개의 Disk 1개의 파티션(주)
/dev/sda1 <- 첫번째 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
ex) 1개의 Disk 2개의 파티션(주)
/dev/sda1 <- 첫번째 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
/dev/sda2 <- 첫번째 디스크의 두번째 파티션
ex) 2개의 Disk 각 3개의 파티션
/dev/sda1
/dev/sda2
/dev/sda3
/dev/sdb1
/dev/sdb2
/dev/sdb3
ex) 1개의 Disk 6개의 파티션 (실제데이터가 저장되는 파티션)
/dev/sda1 (주)
/dev/sda2 (주)
/dev/sda3 (주)
/dev/sda4 (확장 파티션)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음
/dev/sda5 (논리)
/dev/sda6 (논리)
/dev/sda7 (논리)
ex)
/dev/sda1 (주)
/dev/sda2 (주)
/dev/sda3 (확장)
/dev/sda5 (논리) 논리 파티션은 5이상!!
/dev/sda6 (논리)
du (Disk Usage) - 특정 디렉토리나 파일의 용량 확인
-h 사람이 읽기 쉽게 출력
-s 요약
du [옵션] [파일/디렉토리명]
df (Disk Free) - 파일시스템 및 파티션별 자세한 용량 확인
-a 모든 파일 시스템 출력
-i inode 사용정보 출력
-h 용량을 읽기 쉽게 출력
df [옵션] [파일/디렉토리명]
fdisk - 파티션 생성/수정
fdisk [옵션]
fdisk [장치명]
-l 디스크 파티션 정보 출력
mkfs (make filesystem) 파일 시스템 생성
mkfs [옵션] [장치명]
-t 파일 시스템의 타입을 지정
마운트 - 특정 디렉토리에 파일 시스템을 탑재하는 것
- 리눅스는 파일 단위로 장치를 관리하기 때문에 새롭게 만든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하여 생성된 디스크 장치를 임의의 디렉토리에 연결 시켜 사용해야 한다.
마운트 포인트 - 파일시스템을 디렉토리에 연결시켜야 하는데 이때 연결되는 디렉토리를 의미
mount - 현재 시스템에 마운트 정보확인
mount [장치이름] [마운트 포인트]
mount -t [유형] -o [옵션] [장치이름] [마운트 포인트]
umount [마운트 포인트] 마운트 해제
mount 옵션
defaults -rw, suid, dev, exec, auto, nouser, async 속성을 모두 가짐
auto - 부팅시 자동 마운트
noauto - 부팅시 자동마운트 안함
dev- 파일시스템 상의 문자, 블럭 특수 장치를 해석.
nodev -파일시스템 상의 문자, 블럭 특수 장치를 해석 하지 않음.
exec -바이너리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
noexec -바이너리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 안함.
(/tmp 디렉토리와 같이 신뢰할 수 없는 사용자도 접근할 수 있는 경우에 보안 향상)
suid - setuid, setgid 의 사용을 허용
nosuid - setuid, setgid의 사용을 거부
ro -읽기 전용 (read-only)
rw - 읽기/쓰기 (read/write) 가능
async - 파일시스템에 대한 I/O가 비동기적으로 이뤄지게 함.
sync - 파일시스템에 대한 I/O가 동기적으로 이뤄지게 함.
user - 일반 계정 사용자들도 마운트 할 수 있게 허용
nouser - 일반 계정 사용자가 마운트할 수 없음 (즉, root만 mount 가능)
noatime - 파일 접근시간을 업데이트하지 않는다.
(메일 스풀이나 로그와 같이 I/O가 많은 파일시스템에 유용)
remount -이미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을 다시 마운트.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15 파일 시스템 관리 2 (0) | 2017.01.09 |
---|---|
Day-14 파일 시스템 관리 1 (0) | 2017.01.08 |
Day-12 프로세스 관리 2 (0) | 2017.01.06 |
Day-11 프로세스 관리 1 (0) | 2017.01.03 |
Day-10 사용자 계정관리 3 (0) | 2016.12.31 |